TIGER 200커버드콜ATM(289480) 은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출시된 ETF이다.
2018년 2월 9일 상장하였으나, 분기배당을 실시해 오다가 2022년 8월 이후 월배당으로 배당주기가 변경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커버드콜 전략이란 기초자산을 매수하고 일반적으로 기초자산과 동등한 만큼의 콜옵션을 매도하여 기초자산의 움직임을 추종하면서 동시에 옵션매도수익(프리미엄)으로 일정한 인컴(수익)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전략이다.
해당 종목의 경우 기초자산은 KOSPI200과 유사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KOSPI200 ATM(at the money)콜옵션을 매도하여 커버드콜 전략을 구성한다.
이 글을 작성하는 2023년 9월 18일 기준, 순자산 규모는 18,547,219,990원이고 운용보수는 기타비용포함 총 0.42%이다.
운용보수가 언제 빠져나가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총 운용보수를 연간 영업일수(대략 252일)로 나누어 매일 기초자산 가격에 반영하므로 특정일에 0.42%가 한꺼번에 빠져나간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2023년의 수익율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위 그래프에서 제일 위 파란색 선이 KOSPI200지수의 움직임이고 가장 아래 회색선이 TIGER 200커버드콜ATM의 움직임이다.
2023/01/02 ~ 2023/09/15 까지의 성과만 보자면
KOSPI200 지수가 19.04% 상승한 반면, 해당 ETF의 상승율은 8.58% 정도이다. (배당금 제외)
9개월간의 배당금을 포함하여 산출하면 상승율은 약 14.1% 정도가 된다.
기본적으로 커버드콜 전략의 특성상 (상방은 제한되어 있고 하방은 열려있는) 기초자산이 상승할 경우 그 상승분을 모두 따라가기는 힘들기 때문에 운용성과는 나쁘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월배당이라고 좋은 것만이 아니라 그만큼 자주 배당락(또는 분배락)이 발생하여 NAV(기준가격)잠식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해당 종목의 주가는 더욱 상승하기 어렵다는 점도 알아두어야 한다.(기초자산이 꾸준히 보합이더라도 NAV는 하락)
그런 면에서 이 종목은 매매차익을 얻으려는 목적 보다는 정기적으로 꾸준히 발생하는 월배당금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2023년 분배금 지급 현황
월배당금액은 2023년 기준 주당 60~61원으로 60일 평균주가 8591원 기준 년 8.3%에 해당하는 고배당을 지급해 준다.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만큼 개별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고 배당율도 꽤 높다는 점은 큰 매력 포인트이다.
이 상품의 또 한가지 장점은 배당액에 부과되는 세금이 거의 없다라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배당금은 원칙적으로 15.4%(배당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의 세금이 원천징수되고 지급된다.
ETF도 펀드 투자자산이 일반 주식이라면 동일하게 세금이 부과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국내에서 거래되는 ETF는 크게 3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1. 국내 주식형
2. 국내 기타형(채권, 원자재, 파생상품 투자)
3. 해외 주식,파생형
ETF는 기본적으로 보유기간과세(보유기간 동안 발생한 배당금 * 15.4%) 종목이지만 국내 주식형의 경우 보유기간과세가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증권 거래세와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증권사 수수료만 비용으로 발생한다.
하지만 TIGER200 커버드콜ATM은 국내 주식형이 아닌 국내 기타형에 포함되므로 보유기간과세 적용상품이고 매도시에도 매매차익에 대하여 금융소득으로 간주되어15.4%의 세금이 부과된다. (2000만원 넘는 경우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
하지만, 보유기간과세 대상이라 할 지라도 파생상품에서 발생한 수익은 과세 대상이 아니다.
해당 종목의 배당금의 원천은
1) 콜옵션 매도를 통해 발생한 프리미엄
2)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이렇게 두가지라고 볼 수 있는데 사실상 1)번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금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1)번을 통해 발생한 수익은 과세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현실적으로도 해당 종목을 1년 이상 보유해본 결과, 2023년 발생한 배당금 중에서도 2월에만 약 7%정도의 세금이 발생했을 뿐이고, 다른 달에는 세금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일반계좌 기준)
그리고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 부분에 대해서는
매수일과 매도일을 기준으로 매매차익과 과표증분 중 적은 것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한다.
매매차익과 과표증분 중 하나라도 0보다 작다면 세금은 부과되지 않는다.
해당 종목의 2023년 09월 15일 현재 과세기준가는 9,999.14 원으로
2023년 1월 2일의 10,119.71원 대비 오히려 120원 정도 하락하였다. 대체적으로 1만원 근방에서 미미한 수준으로 오르내리고 있기 때문에 증가분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 기초자산을 통해 얻은 배당금은 과표기준 산정에 반영되지만 파생상품 수익은 반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023년 1월 2일 시가에 매수하고, 2023년 9월 15일 종가에 매도하였다면,
매매차익은 8795 - 8100 = 695원이고,
과표증분은 9,999.14 - 10,119.71 = -120.57 이며
둘 중 더 적은 금액에 대하여 과세하고, 과표증분이 마이너스이므로 세금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처럼 일반계좌를 통해 매매하더라도 세금에 대한 부담이 거의 없는 편이지만 이마저도 절약하고 싶다면 연금계좌나 ISA계좌를 이용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절세 효과를 볼 수 있겠다.
단점으로는 거래량이 일 평균 3만~4만주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는데, 많은 금액을 투자하였다면 원하는 시기에 현금화할 경우 약간 손해를 볼 수도 있다. 지수 추종 종목이므로 LP회사들이 유동성을 공급해주긴 하지만 시가 근처의 거래량은 적고, 시가보다 1~2% 정도 차이나는 호가 대에 잔량을 쌓아놓기 때문에 대량으로 매수,매도는 추천하지 않는다.
(해당 글은 글쓴이의 주관적이 견해이며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금융투자(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ETF (이건 왜 사나요?) (0) | 2023.09.26 |
---|---|
미국월배당주 QYLG ( = QQQ + QYLD?) (0) | 2023.09.25 |
AMZY - 미국 고배당주(투자전 확인사항) (0) | 2023.09.15 |
TSLY - 미국 고배당주-투자위험도는? (0) | 2023.09.14 |
커버드콜(Covered-call) 전략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