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과학(Science)

(13)
HDL,LDL은 사실 콜레스테롤이 아니다? HDL = 좋은 콜레스테롤 LDL = 나쁜 콜레스테롤 성인이 되고부터 정기적인 종합검진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위와 같은 등식은 상식이 되었다. 왜 좋고 나쁜지 설명하라고 하면 LDL은 혈관에 축적되어 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고 HDL은 반대로 혈관을 청소해 준다더라라는 것도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내용이다. 그런데 HDL과 LDL이 어떤 단어의 약자인지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끝이 L로 끝나는 것으로 보아하니 무슨무슨 콜레스테롤의 약자겠지라고 막연히 생각하고 넘어갈 수도 있다. 하지만 HDL과 LDL에는 콜레스테롤과 연관된 단어가 하나도 없어보인다. HDL = High-Density Lipoprotein LDL = Low-Density Lipoprotein 의 약자이다. Lipop..
중성지방,포화지방,불포화지방,트랜스지방 종합검진 항목 중에 혈액검사 결과를 보면 보통 중성지방, HDL, LDL, 총콜레스테롤 수치 이렇게 네가지 항목으로 혈액의 건강 상태를 나타낸다. 중성지방이 200 mg/dL (0.1리터당 200밀리그램) 이상이면 좋지 않다고 하던데 중성지방이란 도대체 뭘까? 나쁜 것일까? 중성지방이라는 단어는 "중성"이라는 형용사 자체로는 별로 위협적인 느낌이 없지만 하도 주변에서 중성지방은 줄여야 되고 중성지방이 많으면 안된다라는 말을 많이 듣기 때문에 뭔가 몸에는 좋지 않은 것 같은 뉘앙스를 풍기는데 사실 체내 지방의 거의 대부분(약 95%)은 중성지방이다. 중성지방은 영어로 neutral fat이라고도 하고 triglycerides라고도 하는데 triglycerides의 분자 구조가 하나의 글리세롤(glycero..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라고?? 차를 타고 운전을 하며 가다보면 라디오에서 가끔씩 "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이다"라는 말이 흘러나올 때가 있다. 모 방송사와 모 생수 업체가 함께 진행하는 물 관련 캠페인의 일환인거 같은데 저 말을 들을 때마다 항상 의아했다.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라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강수량도 풍부하고, 상하수도 시설 등 인프라도 잘 갖추어져 있고, 무엇보다도 살아오면서 물이 부족하다고 느껴본 적이 한 번도 없는데 왜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라는 걸까? 그래서 한 번 제대로 팩트체크를 해보려 한다. 우선 우리나라를 물부족 국가로 규정한 곳은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 :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라는 연구소이다. PAI는 지속 가능한 환경에서 건강하고 적절한 인구의 발전이..
번개는 위에서 아래로 치는가? 아래서 위로 치는가? 번개가 전기현상이라는 것은 미국 건국의 아버지이자 호기심 많은 과학자이기도 한 미국의 벤자민 프랭클린이 1752년 실시한 연 실험으로 밝혀졌지만, 촬영이 가능하게 된 1920년대 이후가 되어야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원자를 쪼갤 정도로 발전된 과학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오늘날에도 우리는 번개에 대해서 모르는 부분이 많을 정도로 번개는 아직도 신비로운 자연현상의 일부분이며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눈보라나 먼지폭풍, 화산에서 분출하는 먼지나 가스 속에서도 번개가 발생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적란운이 발달하면서 구름 내부에 분리 축적된 음전하와 양전하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불꽃방전을 번개라고 한다. 이러한 번개는 크게 세가지 종류로 나뉜다. 1. 낙뢰: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서 벌어지는 번개 현상..
와트(Watt) - 전력의 단위 "1와트(W)는 1초 동안 1줄(J)의 일을 하는 일률의 단위이다." 와트는 국제단위계(SI)의 단위이며 기호로 W를 사용하는데, 증기기관의 발명자인 제임스 와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일률이란 단위시간당 행해진 일의 양이며 '단위시간'당 행해진 일의 비율이기 때문에 일률이라 말하고 보통P(power)로 표현한다. 줄(Joule) - 일(work) 또는 에너지의 단위 줄(joule)은 에너지 또는 일(work)의 단위로 국제단위계(SI)의 유도 단위이며, 기호로 J를 사용한다. 열역학 제1법칙(에너지보존법칙)의 창시자인 영국의 물리학자 Jame Prescott Joule(1818.12.24 ~ 1889.10.11) teligen.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줄(Joule)에 관하여 설명하였었는..
2023년 노벨물리학상 - 1/1,000,000,000,000,000,000 초를 측정할수 있는 기술 2023년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는 아토초(atto seconds, 1/1,000,000,000,000,000,000초, 100경 분의 1초) 단위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공헌한 세 명의 물리학자 Anne L’Huiller, Pierre Agostini, Ferenc Krausz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발표하였다. 20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 좌측부터 Anne L'Huiller, Pierre Agostini, Ferenc Krausz (출처: nobelprize.org) 100경 분의 1초라니.. 상상조차 되지 않는 찰나의 순간이다. 위 그림은 1아토초가 어느 정도 짧은 시간인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지금 우..
쇼어알고리즘(Shor's Algorithm) - 양자컴퓨터는 이것으로 현대의 암호 방식을 무력화한다고? 양자컴퓨터가 세간의 관심을 끌어모은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현재 컴퓨터 암호화 기술이나 이를 이용한 암호화 통신기술에 거의 대부분 사용되는 RSA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공개키암호화 방식을 단시간 내에 쉽게 풀수 있는 파괴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일 것이다. RSA알고리즘의 기반이 되는 수학적 사실은 두 소수(prime number) p와 q를 곱하여 N이라는 정수를 만들었을 때, N이 충분히 큰 수라면 역으로 N을 소인수 분해하여 p와 q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렵다라는 것에 있다. 이 p와 q를 각각 공개키, 개인키로 사용하여 공개키는 말 그대로 공개되어 누구나 볼 수 있지만 이 공개키를 이용하여 어떤 문서를 암호화하면 이 암호화된 문서는 본인만 알고 있는 개인키를 이용해서만 풀 수 있다..
볼트(volt) - 전압의 단위 1.볼트(volt)란 무엇인가? 전위(electric potential),전압(electric potential difference),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의 단위로서 1볼트란 1C(쿨롱)의 전기량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이 1J(줄)이 되는 2점간의 전위차, 또는 1A(암페어)의 전류가 흘러 소비되는 전력이 1W(와트)가 되는 2점간의 전위차를 말한다. 또는 1옴의 저항에 1암페어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전위차라고 말할 수도 있다. 국제단위계(SI)의 유도단위(derived unit,기본 단위에서 유도된 물리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볼타전지를 발명한 이탈리아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Alessandro Volta,1745–1827)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출처: w..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