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와트(W)는 1초 동안 1줄(J)의 일을 하는 일률의 단위이다."
와트는 국제단위계(SI)의 단위이며 기호로 W를 사용하는데, 증기기관의 발명자인 제임스 와트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일률이란 단위시간당 행해진 일의 양이며 '단위시간'당 행해진 일의 비율이기 때문에 일률이라 말하고 보통P(power)로 표현한다.
줄(Joule) - 일(work) 또는 에너지의 단위
줄(joule)은 에너지 또는 일(work)의 단위로 국제단위계(SI)의 유도 단위이며, 기호로 J를 사용한다. 열역학 제1법칙(에너지보존법칙)의 창시자인 영국의 물리학자 Jame Prescott Joule(1818.12.24 ~ 1889.10.11)
teligen.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줄(Joule)에 관하여 설명하였었는데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1줄(J)은 물체에 1N(뉴턴)의 힘을 가해 물체가 힘의 방향으로 1m 이동했을 때 힘이 물체에 해준 일, 또는 사용된 에너지이며 국제단위계의 기본단위로 표현하면 m2·kg·s-2이다.
뉴턴이 궁금하다면 이것도 이전 포스팅을 참조하면 된다.
뉴턴(Newton) - 단위
뉴턴은 힘의 단위로 국제단위계(SI)의 유도단위이며, 기호로 N을 사용한다. 1N은 1 kg의 물체를 1 m/s2의 가속도로 가속시키는 힘이며, N을 국제단위계의 기본단위로 표현하면 m·kg·s-2이다. 뉴턴의
teligen.tistory.com
우리나라의 중학교 물리과정에서는 1와트를 전기기구에 1초 동안 공급하는 전기에너지인 소비전력의 단위로 설명하며 전압(V) 곱하기 전류(I), 즉 P = V × I 의 식으로 표현한다.
그러므로 위에 언급한 모든 내용들을 다음과 같은 등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wikipedia.org)
1J은 1초당 1와트의 에너지이고 1와트는 1초당 1J의 전력이다.
이렇게 표현하면 사실 매우 헷갈리게 되는데 에너지란 어떠한 물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힘이고, 일률(power)이란 그 힘을 시간당 행해진 비율로 나타낸 것라고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어 20와트(W)의 전력을 5초(s)간 사용했다면 총 에너지 사용량은 100줄(J)이 된다.
그렇다면 왜 전기 고지서에 나오는 총 전력소비량은 줄(J)을 사용하지 않고 kWh(킬로와트시)를 사용하는 걸까? 1kW는 1000W 이고 Wh(와트시)는 1시간당 사용한 와트이다. 그러니까 1kWh는 1시간 동안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과학적인 이유보다는 실용적인 이유가 더 많은데 기본적으로는 줄(joule)이 너무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총 사용한 전력을 줄로 표현하면 너무 숫자가 커져버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0W 전구를 10시간 켜 놓았을 때 사용한 전력량을 줄로 나타내면 3,600,000J이 된다.
그리고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기제품의 소비전력은 와트 단위로 표기된다. 냉장고 같은 가전제품은 1년 내내 틀어두지만, 잠깐 잠깐 사용하는 전기다리미나 전자레인지 등 얼마나 사용하게 될지 모르는 전기 제품의 소비전력을 총사용량으로 표기할 수는 없다. 그래서 좀 더 사용하는데 편리하고 전기제품과 연동하여 계산하기 쉬운 kWh를 사용하는 것이라 한다.
'과학(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라고?? (55) | 2023.11.10 |
---|---|
번개는 위에서 아래로 치는가? 아래서 위로 치는가? (52) | 2023.11.07 |
2023년 노벨물리학상 - 1/1,000,000,000,000,000,000 초를 측정할수 있는 기술 (50) | 2023.11.02 |
쇼어알고리즘(Shor's Algorithm) - 양자컴퓨터는 이것으로 현대의 암호 방식을 무력화한다고? (52) | 2023.10.29 |
볼트(volt) - 전압의 단위 (70) | 2023.10.23 |